1번
문제 설명
이진수를 의미하는 두 개의 문자열 bin1과 bin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이진수의 합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return 값은 이진수를 의미하는 문자열입니다.
- 1 ≤ bin1, bin2의 길이 ≤ 10
- bin1과 bin2는 0과 1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bin1과 bin2는 "0"을 제외하고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bin1 bin2 result
"10" | "11" | "101" |
"1001" | "1111" | "1100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0 + 11 = 101 이므로 "101"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1001 + 1111 = 11000 이므로 "11000"을 return 합니다.
이진수 덧셈,, 처음 보는 거라 아예 접근조차 할 수 없었음
GPT 가 짠 코드
def add_binary(bin1, bin2):
sum = int(bin1, 2) + int(bin2, 2)
return bin(sum)[2:]
int() 함수로 이진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이 가능함
int(bin1, 2)에서 두 번째 매개변수인 2는 int() 함수의 문자열이 이진수임을 알려줌
마지막으로 정수를 다시 이진수로 변환해서 return 해주는데 이때 bin() 함수는 앞에 ‘0b’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반환하므로 처음 두 문자를 제거하고 return 해야 하므로 슬라이싱 기능을 사용한다.
2번
문제 설명
숫자와 "Z"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담긴 문자열이 주어집니다. 문자열에 있는 숫자를 차례대로 더하려고 합니다. 이때 "Z"가 나오면 바로 전에 더했던 숫자를 뺀다는 뜻입니다. 숫자와 "Z"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질 때, 머쓱이가 구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보세요.
제한사항
- 1 ≤ s의 길이 ≤ 200
- 1,000 < s의 원소 중 숫자 < 1,000
- s는 숫자, "Z", 공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s에 있는 숫자와 "Z"는 서로 공백으로 구분됩니다.
- 연속된 공백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0을 제외하고는 0으로 시작하는 숫자는 없습니다.
- s는 "Z"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s의 시작과 끝에는 공백이 없습니다.
- "Z"가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습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1 2 Z 3" | 4 |
"10 20 30 40" | 100 |
"10 Z 20 Z 1" | 1 |
"10 Z 20 Z" | 0 |
"-1 -2 -3 Z" | -3 |
처음 짠 코드
def solution(s):
answer = 0
s_list = list(s)
for i in range(len(s_list)) :
if s_list[i] == 'Z' :
answer = answer - int(s_list[i-1])
else :
answer += int(s_list[i])
return answer
공백기준으로 분할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함
z가 나왔을 때 이전 숫자 빼는 것이 공백일 수도 있음
가장 마지막에 더한 숫자를 새로운 변수로 설정해줘야 할 듯
최종 코드
def solution(s):
answer = 0
last_added = 0
s_list = s.split()
for element in s_list:
if element == 'Z':
answer -= last_added
last_added = 0
else:
last_added = int(element)
answer += last_added
return answer
split()으로 s를 분할하고 요소 반복해서 수행하면 된다.
3번
문제 설명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에서 한 번만 등장하는 문자를 사전 순으로 정렬한 문자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보세요. 한 번만 등장하는 문자가 없을 경우 빈 문자열을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 0 < s의 길이 < 1,000
- s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abcabcadc" | "d" |
"abdc" | "abcd" |
"hello" | "eho" |
Counter 이용해 보자 이거 쓰면 문자가 키 값이 횟수인 사전 만들기 가능하다. 그리고 마지막 정렬만 해주면 될 듯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def solution(s):
counter = Counter(s)
result = [char for char in counter if counter[char] == 1]
return ''.join(sorted(result))
이젠 지피티처럼 저렇게 반복이랑 조건 한 줄에 쓰는 것이 좀 익숙해진 듯
4번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을 return 합니다.
- arr = [4, 4, 4, 3, 3] 이면 [4, 3]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입출력 예
arr answer
[1,1,3,3,0,1,1] | [1,3,0,1] |
[4,4,4,3,3] | [4,3] |
def solution(arr):
answer = [arr[0]]
for num in arr :
if num != answer[-1]:
answer.append(num)
return answer
answer에 새로 추가된 마지막 원소와 같지 않으면 새롭게 추가 두 번째 케이스 때문에 이런 식으로 해야 함
출처 : 프로그래머스